The Science of Muddling Through [C. Lindblom, 1959]에 대한 斷想
신내림 받은 무당이나, 주역과 명리학을 전문적으로 배운 역술가나, 한 분야를 집중 공부한 전문가들의 공통점은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공통점은 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이론과 논리를 증명하거나 발견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단지 대부분의 논쟁에서 익숙하게 볼 수 있는 광경은, 자신과 다른 상대방의 사회적 가치들은 전혀 관심이 없으므로 그 가치들의 우선순위는 들어 본 적도 없다. 그 대신 결과를 예측ᆞ도출하기 위해 각자의 과거 경험에 크게 의존하며 그 과정에서 중요한 사회적 가치나 논쟁의 목적은 어느새 사라진다는 안타까운 사실이다.
제삼자의 관점에서 선명하게 예상할 수 있는 것은, 복잡한 사회문제나 정책대안에 대한 목적과 가치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혼합한다는 것과, 무분별한 데이터 남용과 인과관계와 상관관계의 혼돈이 무질서하게 발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어떻게 든 대응(Muddling through)하며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살아간다.
논쟁 대상자들은 한 가치가 다른 가치들의 일부를 위해 얼마나 희생할 가치가 있는지 알아야 하지만, 종종 목적과 목표를 명확히 하지 않고 정책과 전략을 우선 결정하므로, 그들의 중요한 가치나 목표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시민은 증가한다. 사회적 목적들이 항상 같은 상대적 가치를 가지는 것은 아니므로,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은 동시에 최초의 논쟁 목적까지도 스스로 수정하게 된다.
누구도 현실세계의 복잡성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수정된 정책의 변동성과 반복되는 오류는 피할 수 없다. 불행한 사실은, 자신이 피하고자 했던 예상치 못한 결과에 대비할 수 있는 적절한 이론이 없다는 것과 다양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상황에 따라 적절한 판단과 행동을 즉시 할 수 있는 임기응변 능력은 다양한 지식과 경험이 전제되어야 가능하다. 잘못 해석되어 효율성(Efficiency)에 중점을 둔 임시방편은 완전성(Thoroughness)에 중점을 둔 임기응변과는 다른 차원이다.
온갖 수재들이 모여 있다는 정부조직이나, 지방대 의대정원이 다 충원된 후에나 S공대에 들어간다는 시대의 똑똑한 의사집단에서 벌이는 작금의 감정적 리스크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보면 임기응변(Muddling through)과 임시방편의 분명한 차이를 알 수 있다. 예상치 못한 돌발상황에 대한 안전대책은 객관식 사지선다형 기출문제나 표준 매뉴얼에서는 찾을 수 없으며, 다양한 지식과 경험의 바탕 위에 만들어질 수 있는 능력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느낄 뿐이다.
Comments